파동과 위상에 대해서

위상(phase)이라는 개념은 파동이 얼마나 이동하였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파동의 주기와 진폭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파동의 기본적인 성질을 알 필요가 있다.

파동의 기본 개념

파동은 에너지의 전달 매개체로서의 진동 현상이며, 여러 형태로 존재한다. 음파(sound wave), 라디오파(radio wave), 광파(light wave) 등 다양한 유형의 파동이 존재한다. 파동은 주기, 진폭, 주파수, 속도 등 여러 다른 속성을 가진다.

Sound wave
  • 주기(Period): 파동이 한 점을 지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 진폭(Amplitude): 파동의 크기를 나타내며, 소리에서는 음량에 해당합니다.
  • 주파수(Frequency): 단위 시간 동안 파동이 몇 번 진동하는지 나타내는 값입니다.

위상의 이해

위상

위상은 어떤 파동이 그 주기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두 개의 파동이 있다고 할 때, 이들 파동이 시간적으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즉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표현하는 값이다. 위상은 각도로 표현되며, 한 주기를 360도로 나누어 표현한다.

  • 인 페이즈(In-Phase): 두 파동의 위상이 같은 경우, 즉 위상 차이가 0도인 경우입니다.
  • 안티 페이즈(Anti-Phase): 두 파동의 위상 차이가 180도인 경우로, 두 파동이 정반대의 진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상의 중요성

위상은 음향학과 신호 처리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위상의 변화는 음향 신호의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파동이 완벽하게 안티 페이즈인 경우, 두 파동은 서로 상쇄되어 소리가 나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두 개의 파동이 완벽하게 인 페이즈인 경우, 이들은 서로를 강화하며 더 큰 진폭의 파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현상은 음향학 뿐만 아니라 물리학, 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상과 음향 설계

위상은 음향 설계와 음향 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튜디오에서의 스피커 배치, 마이크 배치 등은 모두 위상에 영향을 받는다. 위상의 문제는 신호의 왜곡, 에코, 상쇄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상 조절이 필요하다.

위상 왜곡 예시

Phase distortion
잘못 맞춘 위상
  • 하나의 소스를 여러 마이크로 녹음할 때, 마이크 간의 거리와 위치에 따라 각 마이크가 캡처한 소리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합쳐지는 과정에서 위상 상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퀄라이저나 멀티밴드 컴프레서와 같이 주파수에 영향을 주는 이펙터를 사용할경우 위상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역보다는 저역에서, 컷보다는 부스트를 할 때 크게 왜곡됩니다. 이러한 왜곡은 여러 트랙을 믹싱할 때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리니어 페이즈(linear phase)모드를 사용해 위상 왜곡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공연장에서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의 위상을 정확히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못 맞춘 위상은 위상 상쇄를 발생시켜 저주파의 소리를 약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을 통한 스피커 배치가 중요합니다.

위상 왜곡 해결방안

  • Polarity Inversion(Phase Invert)
    • 위상을 180도 반전시켜, 위상이 정반대인 두 신호가 상쇄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Time Alignment
    • 다중 마이크 녹음에서의 시간 지연을 수정하기 위해, 믹서 또는 DAW에서 타임 얼라이먼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두 신호의 위상을 맞출 수 있습니다.
  • Linear Phase Mode
    • 리니어 페이즈 모드는 위상왜곡을 발생시키지 않는 모드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드는 많은 연산이 필요해 상당한 레이턴시가 발생할 수 있고, pre-ringing과 같은 부가적인 왜곡을 발생시키기도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위상은 파동이 시간과 공간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이는 파동의 상호작용, 음향 신호의 합성, 음향 처리 및 음향 엔지니어링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음향학에서의 위상 이해는 정확한 신호 처리와 소리의 품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정밀하고 고급진 음향 설계와 음향 제작이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