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중치
가중치 필터(weighted filter)는특정 주파수 영역을 강조하거나 감쇠한 필터를 의미한다. 주로 인간의 청각 특성을 반영하여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는 인간의 청각 반응이 모든 주파수에 대해 동일하지 않다는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가중치 필터(weighted filter)는특정 주파수 영역을 강조하거나 감쇠한 필터를 의미한다. 주로 인간의 청각 특성을 반영하여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는 인간의 청각 반응이 모든 주파수에 대해 동일하지 않다는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LUFS(Loudness Units Full Scale)와 LKFS(Loudness K-weighted Full Scale)는 소리의 라우드니스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이다. 이는 오디오의 상대적인 라우드니스를 정량화하는 국제 표준이다.
디지털 아웃보드 리미터, 디지털 DAW 및 오디오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더 극단적인 다이내믹 조작이 가능해졌다. “Look ahead”라고 불리는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리미터는 들어오는 신호의 파형을 예측하면서 더 빠르고 정확하게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Brick wall” 리미팅이 가능해졌는데, 이는 신호가 이론적인 볼륨 한계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 신호를 클리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심한 디지털 클리핑만큼 나쁘지는 않지만 좋지도 않으며,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대표적인 예는 Waves L1 Ultramaximizer로, 라우드니스 워의 기폭제이다.
라우드니스(Loudness)는 사람이 청감상으로 인지하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실제 소리 크기를 나타내는 음압(dBSPL, Sound Pressure Level)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라우드니스는 사람의 청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며, 신호값이 크더라도 라우드니스가 작으면 소리는 작게 느껴질 수 있다.
PPM은 신호의 피크 값을 측정하기 위한 미터이다. PPM은 Rms 미터에 비해 훨씬 짧은 감지 시간을 가지며 피크레벨을 표시한다. 그러나 PPM은 실제 신호 전압의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다. 초기 장치는 10ms 인지 시간(Type II 미터)을 사용했으며, 나중에는 인지 시간을 4ms로 줄였다(Type I 미터). 이러한 짧은 인지 시간은 가장 빠른 순간적인 피크를 무시하기 위해 선택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PPM은 종종 ‘Quasi PPM’로 불리며 실제 PPM과 구별된다.
VU는 “Volume Unit”의 약자로, VU meter는 오디오 시스템에서 레벨 모니터링과 믹싱 작업을 위해 널리 사용 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레벨 미터이다.ANSI(미국 국립 표준 협회,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서는 VU 미터를 표준 측정 미터로 제정하였다. VU 미터는 사람의 듣는 감각과 유사한 음압 변화 속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VU 미터의 바늘은 300ms 동안의 평균값을 RMS로 표시한다.
오디오 시스템에서 레퍼런스 레벨은 일반적으로 국제 표준에 따라 정의된 기준 신호 레벨을 말한다. 이는 다른 오디오 장비 및 시스템 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오디오 처리에서 헤드룸 확보와 왜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노미널 레벨은 음향 시스템이나 장비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적정 운용 레벨을 나타낸다. 이는 해당 신호가 어떤 레벨에서 정상적으로 운용되거나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노미널 레벨은 Noise Floor, Dynamic range, Clipping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가장 정상적인 운용레벨이며, 서로 다른 기기 및 컴포넌트 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이다.
헤드룸(Headroom)은 음향 기기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적정 운용 레벨(Nominal Level)과 최대 레벨(Maximum Level) 사이의 여유 공간을 말한다. 이 여유 공간은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보존하고, 왜곡이나 클리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크레스트 팩터는 Peak를 RMS값으로 나눈 비율로 계산된다. 반면에, 최대-평균 전력비(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는 Peak를 제곱한 값(최대 전력)을 RMS 값의 제곱(평균 전력)으로 나눈 것이다. 즉, PAPR은 크레스트 팩터의 제곱값이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보다 쉽게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해 피크와 RMS 값의 차이를 크레스트 팩터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